2019년 4월 13일 토요일

# 안드로이드(Android OS) 내장메모리(internal memory) 복구 가이드라인 ( windows 기준 )

테스트 환경 : Windows 10 ( 64bit )

전체적인 가이드는 다음과 같다.

1. 복구하고자 하는 스마트폰은 반드시 루팅한다. ( Super su )

2. ADB를 이용, 안드로이드에 마운트된 user data 또는 내장메모리 그 자체를 이미지로 만들어서 로컬 컴퓨터에 저장.
  (ADB 설치방법은 구글링으로 검색하자.)

3. 2번에서 만들어진 이미지를 이용해 vhd 파일로 바꾼다.

4. vhd파일을 가상디스크로 읽어들여 해당 디스크에 대해 복구프로그램을 돌려준다.



루팅의 경우에는 스마트폰마다 방법이 다르므로 구글링을 통해 찾는게 수월하다. 그러면, 2번~4번까지의 방법을 알아보자.

2번의 경우
 (0) adb 및 netcat 이용시에는 cmd 프로그램을 활용한다. cygwin에서 제공하는 기본 terminal을 이용하지 않는 이유는
     netcat을 통해 파일 전송시에 그 속도가 현저하게 뒤떨어진다.
 (1) 스마트폰 연결 후, cmd창을 open
 (2) adb start-server
 (3) adb forward tcp:9999 tcp:9999 ( port번호는 원하는걸로 )
 (4) adb su -c /system/xbin/busybox nc -l -p 9999 -e /system/xbin/busybox dd if=/dev/block/mmcblk0
     - 내가 쓰는 스마트폰 기준으로 내장메모리는 mmcblk0 이란 이름으로 mount되어 있다.
 (5) 스마트폰내에 내장메모리를 로컬 컴퓨터로 전송하는 방법은 netcat, cygwin을 이용한다.
     cygwin을 설치 후( 설치 시 dependency 목록중에 progress var(=pv) util, debug를 추가)
     bin 폴더에 netcat 파일을 넣어준다. 그 다음, 데이터 전송 유틸러리인 netcat를 이용해 로컬 컴퓨터로
     전송한다.
     ex) nc 127.0.0.1 9999 | pv -i 0.5 > testDumpfile.raw
     p.s. netcat 명령어는 구글링으로 검색해서 알아보자!!



  ( 위 그림과 같이 파일이 전송되어 진다. )

2번 순서가 끝나면, 바로 VHD tool을 이용해 raw 파일을 가상화 디스크 파일로 변경해야 한다.
( 변경 후, 확장자명을 .vhd로 변경해주자. )
vhdtool 에 대한 이용법은 구글링을 통해 찾기 쉽다.
VhdTool.exe /create <FileName> <Size> [/quiet]VhdTool.exe /convert <FileName> [/quiet]VhdTool.exe /extend <FileName> <NewSize> [/quiet]VhdTool.exe /repair <BaseVhdFileName> <FirstSnapshotAVhdFileName> [/quiet]

위와 같이 간단한 명령어 체계를 가지고 있다.

vhd 파일로 변경이 끝나면, 이제 widnwos 컴퓨터 관리 앱을 통해 해당 vhd파일을 등록시켜준다. 이 또한 간단하게 검색을..

여기까지 완료되었다면, 복구 프로그램을 구해서 해당 디스크를 복구시켜보자. -끝-

댓글 없음:

댓글 쓰기